본문 바로가기
IT 정보기술

정보 접근성

by 지구스시2 2023. 11. 1.
728x90
반응형

 

23.10.31, 삼성 강남에서 진행되는 강연을 듣고 왔습니다.

퍼블리셔로 재직하며 정보 접근성 정말 많이 들어봤지만

제대로 반영하여 마크업해본 경험이 있나?

생각해 보면 부끄럽지만 없습니다.

그래서 도대체 접근성이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에 대해 알고자

강연을 듣게 되었습니다.

 

접근성을 고려한 서비스 제작?

이미지 alt, titl 속성을 추가, 대체 텍스트 추가 정도 해놓고

우리 접근성 맞췄음~

이런식의 작업 이었죠.

 

접근성을 인터넷에 검색해 보면

보통 이렇게 나오곤 하죠.

"모든 사람들이 웹 페이지의 정보에 동일하게 접근할 수 있어야 한다."

 

이 문장을 보고 접근성에 대해 바로 이해할 수 있을까요?

저는 없다고 생각합니다.

 

접근성의 유형에는 많은 것들이 있겠지만

정보 접근성이 무엇이고, 왜 중요한지에 대해

강연을 통해 많이 알게 되었어요.

 

100% 이해했다고 할 수 없지만

1. 왜 중요한지

2. 우리가 왜 정보 접근성에 가치를 두고 서비스를 제작해야 하는지

3. 앞으로의 방향성에 대해 많은 고민을 하게 되었습니다.

 

11/7에 삼성 강남 3F, 19:00~20:00

또 한번의 강연이 진행되니

관심 있으신 분들은 꼭 들어보시길 바란다!

 

https://www.jumpit.co.kr/contents/427

 

점핏

개발자 커리어 점프, 점핏

www.jumpit.co.kr

 

✅ 접근성이란

접근성은 장애인을 위한 것도 아니고
추가 작업이나 고도화 작업아니다.
처음부터 설계 단계부터 포괄하는 것이다.
(어른, 아이, 노인, 여자, 아이, 장애인, 비장애인, … )
어떠한 장벽을 느끼지 않게 하도록 하는 것이다.

✅ 접근성은 장애인을 위한 것이 아니다.

접근성은 다양한 사람을 포괄해야 한다(이것이 기본이다)
⇒ 제일 취약한 사람 고려하면 모든 사람이 사용할 수 있음
⇒ 제일 취약한 사람은 대다수 장애인(영구적, 개선 어려움)
⇒ 그러다 보니 장애인이 언급되는 것일 뿐이다.

✅ 결국 사람이 있다.

서비스 끝에는 결국 사람이 있다.
서비스를 누구는 사용할 수 있고, 누구는 사용할 수 없다면?
너무 이상하지 않은가?
우리는 누구나 사용할 수 있어야 한다는 의미에 가치를 두고
서비스를 개발해야 하지 않을까?!

 

 

 

728x90
반응형

'IT 정보기술' 카테고리의 다른 글

UX 디자이너의 AI 인사이트  (1) 2024.09.26
Figma  (0) 2023.10.16
UI/UX 도대체 이게 뭔데  (0) 2023.10.14
CSR, SSR  (0) 2023.10.07
Open Props  (0) 2023.09.22